TIL ( Today I Learned )
0607-08 TIL
outwater
2021. 6. 9. 09:07
TIL 놓치고싶지않아요..!
나도 모르게 TIL을 2일 작성하지 못했다..!!
뇌를 재빨리 활성화시켜 (아니 캘린더와 노션을 찾아) 기록하고자 한다 : )
🎄오늘 (어+엊그)제 한 일
✔️ 1. [알고리즘 학습]
- 완전탐색과 DP(Dynamic Programming) 에 대해서 학습하였다.
- 완전탐색은 탐색할 공간을 확인 한 후 전부 순회하며, 문제의 조건에 맞는 결과를 찾아내는 방법이며,
DP는 동적계획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여러개의 하위문제로 나누어 풀고, 하위 문제들의 해결방법을 결합하여 최종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을 뜻한다.
대표적인 DP로 피보나치 수열을 구하는 문제가 있으며, fibo(n)은 중복되는 작은 문제(fibo(n-1), fibo(n-2))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작은문제를 푼 값을 저장하여 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2. [알고리즘 풀이]
- 프로그래머스(카펫) & 프로그래머스(피보나치수열) 을 풀어보았다.
- 그래도 지금까지 풀었던 문제들보다는 익숙한 개념이여서 한결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었다.
피보나치 수열을 풀 때, 재귀+메모(하위문제 저장) 방식과 반복문+메모(하위문제 저장)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풀어보았다.
✔️ 3. [ javascript 기술면접 준비]
- 자바스크립트의 가장 기본과 핵심부터 공부를 시작하고 있다.
처음 배웠을 때, 너무 낯선 개념이여서 흐름만 파악하고 넘어갔던 개념들을 직접 말로 풀어 설명하려니,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훨씬 더 자세하고 깊이 알아보아야 했다.- 스코프를 이야기하려면 실행컨텍스트가 나오게되고, 실행컨텍스트를 이야기하면 자연스럽게 호이스팅과 콜스택, this, 클로져등의 개념이 연결되어 나오게 된다.
그래도 옛날에 공부했던 퍼즐들을 다시 맞추는 느낌이 들어 막막하기 보다는 재밌다는 느낌이 더 들었다.
코딩테스트 연습 -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F(3) = 1 + 2 = 3 F(5) = F(3) + F(4) =
programmer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