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프로젝트를 들어가며, 정~말 정신없이 배우고, 적용하고, 에러를 찾아 헤매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했다.
말그대로 허슬(Hustle)했다.
TIL을 위해 한 번더 다듬고, 정리해보는 시간도 아끼겠다고, 한 달 동안 노션으로 기록의 매체를 바꿔보았다.
노션에서의 필기, 기록은 조금 더 편하고, 자유롭게 정리한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기록의 마침표가 찍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2주동안 허슬하며, 배움의 밀도는 높았지만, 그만큼 몸이 삐걱대는 것을 체감했으며, 지속적으로 이런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다시 TIL로 돌아와, 하루 공부-마무리를 기록하며 긴호흡으로 달려보고자 한다.
🎄오늘 한 일
✔️ 1. 4주프로젝트 기획 시작
- 오늘은 4주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첫 날로 팀원들과 프로젝트 아이디어에 대한 논의를 계속 진행해보았다.
최종적으로 트레바리 서비스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 공부(특정 스택)모임을 개설하고 참여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만들어 보기로 결정하였다.- 사람은 다른 사람을 만나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무나 만나고 싶어하지는 않는다. 나와 공통분모가 있는 사람, 신뢰할 수 있는 사람, 그 사람을 통해 내가 발전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나기를 원한다.
항상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했고, 기말 프로젝트를 통해 하나의 해결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는 것에 정말 기뻤다.✔️ 2. 타입스크립트 강좌 수강
- 4주 프로젝트에서는 에러방지, 코드자동완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타입스크립트를 도입하기로 팀원들과 합의하였다. 나는 정적타입의 언어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어서 조금 우려되는 부분이 있었지만, 실제로 현재 대부분의 회사에서 Typescript를 사용중에 있고, Typescript가 주는 이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 시작 전 따로 시간을 내어 공부를 해보고자 하였다.
- 인프런에서 유명한 캡틴판교님의 타입스크립트 입문강좌를 바로 등록하여 수강하였는데, 군더더기 없는 설명과 실습을 통한 체득을 할 수 있도록 한 강의가 인상적이었다.
www.inflearn.com/course/%ED%83%80%EC%9E%85%EC%8A%A4%ED%81%AC%EB%A6%BD%ED%8A%B8-%EC%9E%85%EB%AC%B8#
✔️ 3. 서버 배포환경 세팅
- 4주 프로젝트에 백엔드를 담당하는 팀원이 없기 때문에, 모두가 풀스택으로 서버를 나눠 담당하기로 결정하였다. 나는 2주 프로젝트때 백엔드에서 배포를 담당했기에, 4주 프로젝트에서도 미리미리 배포환경을 세팅하고자 했다.
- 2주 프로젝트 때 정말 고생하며 어찌어찌 배포를 했지만, 당시 프론트와 서버 도메인을 따로 구입하여 clientdomain.com // serverdomain.com 이렇게 각각 https 연결을 마쳤었는데, 프론트와 서버의 도메인이 다르기 때문에 쿠키를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것에 이슈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으로 api.clientdomain.com 을 서버 주소로 하여야 한다는 방법을 찾게 되었는데, 사실 아직 완벽히 이해가 되지 않아 조금 해매었다.
🎄더 공부할 것
✔️1. client와 server 도메인연결
✔️2. TypeScript를 리액트에 적용하는 방법
: )
'TIL ( Today I Learned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401_TIL (0) | 2021.04.02 |
---|---|
210331_TIL (0) | 2021.04.01 |
210303_TIL (0) | 2021.03.04 |
210302_TIL (0) | 2021.03.03 |
210222_TIL (0) | 2021.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