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 Today I Learned )

210103_TIL

by outwater 2021. 1. 14.

Start Think:
장비전사가 되어가고 있다.

맥북, 매직키보드, 모니터, 의자 까지 풀 세팅을 갖추고 데스크 셋업이 점점 완성되어 가고 있다.

누가보면 3년차 개발자인 줄 알 것이다 ㅎㅎ..

그래도 나는 지금 무리해서 좋은 장비세팅을 하는 것이 훌륭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곧 주니어개발자가 될 것이고, 3년차 개발자가 될 것이고, 더 멋진 장비들로 세팅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기최면, 자신감투여!) 

🎄오늘 한 일


✔️ 1.  ESLint 설치 및 설정

  • 코드를 쓰는 규칙들을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Lint의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ESLint 설치하고 적용해보았다. 이제 공식문서를 보고 따라하는 과정도 어느새 많이 익숙해진 것 같다. 
    mocha라는 테스트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는 변수들이 no-undef 에러를 쏟아내어서, ESLint의 설정파일인 .eslintrc.js 에서 "env" 와"rules"를 적절히 지정해주어 lint를 하기 전 에러들을 잡아주었다.

✔️ 2. HA 리팩토링 페어코딩

  • pre 코스에서 im코스로 넘어 올 때 보았던 HA시험의 문제들을 리팩토링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페어와 함께 서로가 작성했던 코드를 비교하고, moder js의 개념들을 적용해보는 시간이었다. 탬플릿 리터럴과 화살표함수, for of 반복문들은 사용하기에 수월하였으나, 구조분해할당과 Rest parameter 개념들은 실제 코드에 적용하기가 까다로웠다. 
  • 이번 Sprint가 좋았던 것은 git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과정을 많이 맛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pair의 repo를 remote로 지정하고, pull을 받아와 conflict 들을 해결해서 merge 하는 작업들을 직접 해보니 더 재미있었다. 중간에 report.json 을 잘못 commit & push 하는 바람에 2000줄 넘는 변경코드가 conflict를 일으키는 거대한 에러를 뿜었으나, 이 과정에서 commit을 취소하는 방법, 사고를 수습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배웠다.

🎄기억할 것

  • mocha 관련 문제 해결
    : .eslintre.js 안에 "env" 에 '"mocha": true' 를 입력해주면 모든 test.js에 첫줄에 예외처리를 안해줘도 한 방에 mocha 에러를 잡아낼 수 있었다.
    또 browser: ture 속성을 통해서 window의 전역객체로 사용하는 document를 찾지못해 발생하는 undef 에러를 잡아주었다.
"env": {
        "commonjs": true,
        "es2021": true,
        "browser": true,
        "node": true,
        "mocha": true   // mocha를 true로 지정해주면 mocha 관련 error 가 사라진다
    },

🎄더 공부 할 것

  • 구조분해할당의 개념의 범위가 아직 확실하지가 않고, 내가 직접 활용할 만큼 익숙하지 않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더 자주보고 써봐서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 bind 역시 쉬운 예제에서는 당연하게 이해가 되지만, this.function.bind(this) 와 같이 조금만 헷갈리게 꼬아놓으면 정신을 못차리고 있다... 기존 예제들과 새로운 예제를 찾아볼 필요를 느꼈다.

 

마무리think
건강관리 정말 중요하다!

잘먹고, 잘운동해야하고, 잘자야하고, 바른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몸건강 = 실력' 임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며 마무리.

'TIL ( Today I Learned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19_TIL  (0) 2021.01.20
210118_TIL  (0) 2021.01.19
210112_TIL  (0) 2021.01.13
200111_TIL  (0) 2021.01.12
210108_TIL  (0) 2021.0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