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썸네일 TMI : 🏃♂️저는 달리는 걸 진짜 좋아합니다. 🐶개띠라서 그런지 어렸을 때부터 뛰는 그 자체를 좋아했답니다. 뛰다가 숨이 턱 끝까지 왔을 때, 그 순간 10%~20% 참고 더 뛰었을 때의 희열과 성취감!!🏃♂️
🎄오늘 한 일
✔️알고리즘 Lesson
: 알고리즘은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법임을 알고, 문제분해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 코드스타일링의 기본을 알고 Google 코드스타일 가이드 읽기
: 변수이름의 중요성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같이 진행하고 나를 가르쳐주었던 동료에게 새겨듣고
고민했던 부분이여서 공감이 많이되었다.
내가 내 코드를 보고도 이해하기가 힘들다면, 내 동료가 내코드를 보는 일이 얼마나 지옥같을까..
가독성 좋은 코드를 짜는 것은 좋은개발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알고리즘 Coplit 1~18번 문제
: 나는 비전공자이기도 하고, 웹개발을 처음 시작했을 때 바로 프로젝트를 병행하였기 때문에 알고리즘에
대해 따로 공부한 적이 없었다. 사실 그래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도 항상 스스로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고,
코딩을 직접 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했다.
알고리즘 코플릿 문제들을 풀면서 '어떻게 이런문제를 풀지' 싶은 문제들을 스스로(페어들과^^;) 풀어내다
보니 코플릿푸는 순간들이 너무 재밌고, 자신감이 차올랐다.
🎄기억할 것
✔️좋은 코드스타일링
1) 이름짓기(Naming)
: 데이터의 모음은 복수명사로 하는 것이 이해하기 더 좋다.
ex) let animals = ['cat', 'dog', 'fish']
: boolean이 할당된 변수는 is/are 을 이름에 붙여 표현한다.
ex) let isAdult = true ;
: 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적습니다
ex) MAX_ITEMS_IN_BASKET = 100;✔️11_removeExtremes
: 여러 문자열을 요소로 갖는 배열을 입력받아 가장 짧은문자열 및 가장 긴 문자열을 제거한
나머지 문자열 배열을 리턴하는 문제
: keyPoint는 문자열 길이만을 저장한 새로운 배열을 만들고,
그 배열에서 가장 긴 요소,가장 짧은 요소의 index number를 얻는 것
: 원 배열에서 해당 index number를 제거한 나머지를 출력하면 끝.
✔️13_readVertically
: 여러 문자열을 요소로 갖는 배열을 입력받아 문자열들을 세로로 읽었을 때의 문자열을 리턴하는 문제
: keyPoint는 이중for문을 돌며 문자열의 한글자한글자를 붙여넣어 output문자열을 만들어내는 것.
: 첫번째 for문은 문자열 요소 중 길이가 가장 긴 값까지 반복하며, 두번째 for문은 문자열의 개수만큼만
반복한다.
: 첫번째 for문을 돌며 각 문자열의 i 번째 글자를 추출, 두번째 for문으로 j개의 문자열을 돌게된다.
✔️17_computeSquareRoot
: 임의의 숫자를 입력받아 해당 숫자의 제곱근의 근사값을 리턴한다.
: 바빌로니아법의 점화식은 공식을 단순 암기하고 사용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조금 더 이해하기 쉽고 해석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bySection Method를 사용하여 풀고자하였다.
: keyPoint 는 1 (left) < 수의제곱근(루트n) < num (right) 에서 left는 크게 right는 작게하여
제곱근의 범위를 반복해서 줄여나가는 것이다.
: 이것을 위해 guess = (left+right)/2 라는 추측값을 만들고
추측값^2 > 루트n^2 이면, right = 추측값 으로 범위를 좁히고
추측값^2 < 루트n^2 이면, left = 추측값 으로 범위를 좁혀나간다.
: 반복을 거치면 추측값과 루트n 의 차이가 미세해지고, 이때의 추측값을 리턴하여 근사값으로 사용한다.
🎄더 공부할 것
✔️11_removeExtremes
✔️13_readVertically
✔️17_computeSquareRoot
: 풀이과정 포스팅 해보면 너무 좋을 것 같다!
시간이... 시간핑계되지않고 해보도록 해보자! 아자.
'TIL ( Today I Learned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28_TIL (0) | 2020.12.29 |
---|---|
201226_TIL (0) | 2020.12.27 |
201224_TIL (0) | 2020.12.25 |
201223_TIL (0) | 2020.12.24 |
201221_TIL (0) | 2020.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