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

210302_TIL 오늘 페어분과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나는 어떤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은가' 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었는데, 도메인(domain)을 기준으로는 커머스쪽이나, 사람을 이어주는 플랫폼 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항상 해오고 있었다. 가고 싶은 기업과도 연결이 되는데, 프레쉬코드(샐러드 정기배송), 미스터맨션(한달살기 숙박플랫폼), 플랩풋볼(풋살매칭 플랫폼) 등 희망 기업과 연관있는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프론트/백엔드 기준으로는 백엔드를 1차 프로젝트 때 해보고 싶은 마음이 크게 들었다. 리액트,리덕스를 다루는 프론트는 백엔드보다 훨씬 익숙하기는 하였지만, 사실 지금은 미숙해도 백엔드에서 서버와 데이터를 다루는 것들이 참 재미있다고 느껴진다. 1차때 가능하.. 2021. 3. 3.
210222_TIL 🎄오늘 한 일 ✔️ 1. React hooks로 장바구니 app(C-market) 구현 지난주 배웠던 react hooks 를 실제 간단한 App 을 구현할 때 사용하며 익혀보는 시간을 가졌다. 함수형컴포넌트들로 app을 구혀낳고 ,useState를 통해 상태를 관리하는 법과 부모 자식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법을 실제로 사용해보았다. ✔️ 2. Redux 개념 학습 Redux는 대표적인 javascrip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로, 기존 컴포넌트 내에서 상태관리를 하던 것을 Store라는 하나의 전역공간에서 모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사실 처음 공부할 때 개념을 받아들이기가 정말 어려웠는데, 화면을 나타내는 UI와 상태가 존재하는 Store를 서로 연결해주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받.. 2021. 2. 23.
210218_TIL 🎄오늘 한 일 ✔️ 1. Toy - PrimePassword() 소수인 현재 비밀번호와 바꾸고 싶은 비밀번호를 받아, 소수를 유지하면서 숫자 한 개씩 바꾸어 나갈 때, 새 비밀번호로 변경하는데 필요한 최소동작수를 구하는 Toy문제였다. 주어진시간인 1시간안에 문제를 겨우 이해하고, 아이디어 구상과 수도코드 정도만 작성할 수 있을 정도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문제였다. 레퍼런스의 도움을 받지 않고 풀어보고 싶어서, 여러방면으로 도전해봤으나 모든 테스트를 통과하는 로직은 구현할 수 없었다.. 레퍼런스를 확인 했을 때,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어려운 문제였다. queue를 구현하고, 그 안에서 4번의 반복문을 돌아야하는... ㅎㅎ;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계속하여 디버깅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던 문.. 2021. 2. 19.
210216_TIL Start Think: 🎄오늘 한 일 ✔️ 1. React에서의 생명주기(Lifecycle) 과 데이터의 흐름 공부 React에서 컴포넌트들은 각자의 생명주기를 갖는다. 컴포넌트가 생성될 때와 업데이트 될 때, Unmount되어 제거 될 때 마다 이를 감지하고, 특정 시기에 맞추어 코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의 lifecyle 그래프를 반드시 이해하고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React에서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배웠다. 일반적으로 리액트에서는 데이터가 단방향으로 흐르고, 여러 컴포넌트가 특정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면, 해당 데이터는 컴포넌트들의 공통 상위 컴포넌트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추가로 역방향 데이터 흐름이 필요한 경우( 자식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변경.. 2021. 2. 17.
210215_TIL Start Think: 설날연휴 끝나고 산뜻한 월요일이었다. 설날동안 틈틈히 토이도 다시 풀어보고, 리액트 책도 읽어서 그런지 마음의 압박으로 부터 한결 자유로워졌다. ㅎㅎ 그럼에도 갈 길은 아직 멀다. 천천히 다시 속도를 올려 페이스를 끌어올려 보려 한다. 핫둘핫둘 🎄오늘 한 일 ✔️ 1. (ToyProbem) - TreeBFS() Tree구조로 작성되어 있는 노드들이 존재한다. 이 중 root노드를 받아서 너비우선탐색(BFS)를 실행하여 각각의 노드를 순서대로 저장된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를 작성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BFS탐색을 queue의 개념을 활용하여 푸는 방법으로 접근을 했다면 쉽게 풀어낼 수 있었을 것이다. 아쉽게도 첫 1시간 동안은 그 핵심 idea를 떠올리지 못하고, 재귀를 통해 구현.. 2021. 2. 16.
210210_TIL 반성하며 시작.. 금요일, 월요일, 화요일 3일간 TIL도 작성하지 못했고, 정규시간 이외의 자율학습도 원활하게 진행하지 못했던 것 같다. 금요일 저녁에 오랜만에 약속이 있어서 술도 한잔하고, 주말에는 또 이것저것 다른 스케줄을 하고 보내다 보니, 주말에 하려고 잡아두었던 코딩공부들도 못하게 되었고, 리듬을 잃었던 것 같다. 매일 하던 일을 하루 빼먹는다고 해서 그 하루만 삐끗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 해오던 리듬이 흔들리게 되는 치명타를 맞기도 한다. 오래 달리기를 할 때, 호흡이 한 번 트이고, 안정적으로 자기 페이스를 찾을 때 상당히 빠른 속도로 긴 거리를 꾸준하게 달려나갈 수 있다. 그런데 오버페이스가 되었든, 잠깐 쉬기 위해서이든 한 번 달리기를 멈춘 후에 다시 뛰려고 하면, 이전보다 배는 힘들다.. 2021. 2. 11.